건강정보

건강칼럼

홈으로_ 건강정보_ 건강칼럼

제목

팔?들기?힘든?어깨?통증,?혹시?'회전근개파열'일까요?


팔을 들거나 옆으로 벌리는 순간,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어깨 통증을 느껴본 적이 있으신가요? 대부분 단순한 근육통이나 피로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러한 통증은 단순한 뻐근함이 아닌 '회전근개파열'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는 팔을 들거나 회전시킬 때 어깨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힘줄 구조물로, 손상이 방치되면 파열이 점점 커지고 결국 어깨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부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복된 사용과 외부 충격이 부르는 손상
회전근개파열의 원인은 크게 퇴행성 변화와 급성 손상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힘줄이 약해진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반복적으로 팔을 사용하는 활동을 하면 작은 손상이 누적돼 결국 파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갑작스러운 낙상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힘줄이 손상되기도 합니다. 이때 초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파열 부위가 점점 넓어져 이후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핵심입니다.

어깨 기능 회복을 돕는 치료법
비수술적 치료는 통증을 줄이고 어깨 기능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디지털 C-arm 장비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통증 부위를 확인하면서 주사치료를 시행하면, 염증을 줄이고 흥분된 신경을 안정시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온열요법이나 전기자극치료 등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도수치료는 숙련된 치료사가 직접 관절 움직임을 교정하여 어깨 가동성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 기능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체외충격파 치료(ESWT)는 힘줄의 미세 손상을 자극해 회복을 촉진하는 치료법으로, 만성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단, 통증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어깨를 사용하면 손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지침에 따라 충분한 치료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즉각적인 호전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꾸준한 치료와 재활이 회복의 핵심입니다.

조기 치료와 꾸준한 관리가 어깨 건강의 열쇠
어깨 통증은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지만, 회전근개파열은 방치할 경우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어깨의 움직임을 되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금 느끼고 있는 불편함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보시길 권유합니다.